RC란 득점 창출력으로 1985년 빌 제임스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
타율이 아닌 실제 득점력을 측정해볼 수 있는 수치인데요!
이후에 RC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조정 득점 창출력 wRC/wRC+를 알게 된다면 각 타자의 능력에 대해 더 자세히 비교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실은.. wRC+는 유사한 개념이지만, 계산하는 식에서는 RC와는 상관이 없어보일 것입니다. 단지 조정 출루율(wOBA)만을 통해 계산을 하거든요..!)
RC의 기본 계산 컨셉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식에서 보이듯이, 출루와 진루를 기회로 나눈 것입니다.
RC의 계산은 4가지 버전이 있는데, 세이버메트릭스에 쉽게 접근하기 위해 가장 기초적인 Basic버전을 살펴보겠습니다.
(나머지 3가지 계산식도 쉽게 찾아볼수 있으며, 2002버전은 보기만해도 복잡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 KBO 기록실(2021시즌)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토대로 RC_Basic을 계산해보겠습니다 :)
아래와 같이 RC에 필요한 정보만 가져오기하여, Hits(총 안타 수)와 BB(총 볼넷 수)를 계산하였습니다.
계산한 Hits와 BB를 활용하여 RC를 계산하였습니다.
(TB:총 루타수, AB :타수는 KBO 데이터를 사용하였습니다.)
역시 오늘도 자주보던 이름들이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네요.
강백호 선수, 양의지 선수, 구자욱 선수, 이정후 선수 등..! RC 부문에서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RC는 맛보기였고..! 다음 게시물에서는 요즘 가장 많이 활용되는 타자 지표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wRC+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마 wRC+를 알게 되시면 훨씬 더 타자를 보는 눈이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다음 게시물에서 뵈요!!

'세이버메트릭스 > 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BIP (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 (0) | 2021.12.03 |
---|---|
조정 득점 생산력 (wRC+ : Weighted Runs Created +) (0) | 2021.12.02 |
가중출루율 wOBA (Weighted On-Base Average (0) | 2021.11.30 |
GPA (Gross Production Average) (0) | 2021.11.24 |
OPS (On base Plus Slugging) (0) | 2021.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