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세이버메트릭스/타자 12

ISO/IsoP(Isolated Power)

ISO 또는 IsoP는 순수 장타율을 의미합니다. (이후 ISO로 통일하겠습니다.) ISO (순수장타율) = SLG (장타율) - BA (타율) 위의 식과 같이 순수장타율은 장타율에서 타율을 뺌으로써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1루타, 2루타, 3루타, 홈런에 각각 0, 1, 2, 3의 가중치를 주어 타석으로 나눈 값입니다. 타자의 장타 능력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그렇다면 2021시즌 ISO 순위를 확인해보겠습니다. 아래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2021 시즌 KBO 순수 장타율 1위는 최정 선수 였습니다. 2등인 한유섬 선수보다 무려 0.03 포인트나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최정 선수는 주로 단타보다 장타를 많이 치는 타자라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타자 WAR (Wins Above Replacement)

WAR! 야구 중계를 보신 분들은 아주 많이 들어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Wins Above Replacement, 대체 선수 대비 승리기여도를 뜻합니다. 그렇다면, 대체 선수는 누구를 말할까요?! 일반적으로 대체선수는 1군에서 활약하는 승리기여도가 0인 대략적인 1.9군의 선수를 말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타자의 WAR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RAA 계산 RAA(Runs Above Average) 공격(wRAA), 주자(BsR), 수비수(DeF)로서의 평균 대비 기여한 점수를 구합니다. 이를 통해 RAA를 계산합니다. RAA = wRAA + BsR + DeF wRAA는 리그 평균 대비 득점기여도(https://sabermetrics-kbo.tistory.com/23) BsR..

wRAA (Weighted Runs Above Average)

wRAA (Weighted Runs Above Average)는 타자의 리그 평균 대비 득점 기여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앞선 게시물에서 언급한 지표인 wOBA를 통해서 계산하게 되는데요! wRAA는 추후 WAR을 계산하는데 활용되는 지표이므로, 간략하게 wRAA의 계산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PA : 타수 wOBA : 가중출루율 wOBA scale : 가중출루율 sclae (스탯티즈에서 매년 확인 가능, 게시물 참조 : https://sabermetrics-kbo.tistory.com/20?category=1028894) 리그wOBA : 리그 평균 wOBA 위의 식과 같이 wRAA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wRAA의 평균은 0이며, 아래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 0보다..

BsR (Base Runs)

발이 빠른 타자들의 득점기여도를 잘 나타내주는 지표 BsR! BsR은 도루만의 가치를 매기는 것이 아니라, 주루 능력에 관한 수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BsR = wSB + UBR + wGDP 1) wSB : 도루로 인한 득점 기여도 2) UBR : 주루 플레이로 인한 득점 기여도 (도루 제외) 3) wGDP : 병살타 회피로 인한 기여도 모든 평균값은 0으로 조정하며, 0보다 크면 평균보다 잘함을 나타냅니다. 1) wSB 식에서 알 수 있듯이, 도루 갯수보다 도루 실패에 큰 가중치가 있으며, 도루의 가중치 값을 계산한 뒤 리그의 총 도루 갯수를 리그의 총 단타,볼넷,사구를 더한 값에서 고의 사구 의 갯수를 뺀 값으로 나눈 값을 빼서 계산한다. 스탯티즈에서는 RAA 도루와 같은..

BABIP (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

BABIP는 흔히 '바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BABIP란 인플레이 타구의 안타 비율을 뜻하는데, 타자가 공을 쳐서 인플레이 상황이 이뤄졌을때 안타가 되는 확률을 의미합니다. 아래 식에서 볼 수 있듯이, 총 안타의 갯수에서 홈런의 갯수는 제외됩니다. (홈런은 인플레이 타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또한, 타수에서 삼진의 갯수, 홈런의 갯수는 제외되며, 희생플라이의 갯수는 더해집니다. 즉, 홈런, 삼진은 인플레이 상황에서 제외시키고, 희생플라이는 인플레이 상황으로 포함시키는 것입니다. 하지만, BABIP는 투수에게 보다 타자에게 조금 더 유용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는데요. 이는, 동일한 투수인 경우라도 매년 BABIP의 수치가 너무 들쑥날쑥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BABIP의 경우 '..

조정 득점 생산력 (wRC+ : Weighted Runs Created +)

타자의 득점 생산 능력을 비교하는 데 있어서 가장 좋은 지표라고 여겨지는 wRC+는 어떤 것 일까요?! 아래 박용택 의원님도 '옐카'에서도 wRC+에 대해서 언급하시고 있네요! wRC+란 Weighted Runs Created +의 약자로 타석에서 타자의 득점 생산성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wOBA라는 가중출루율(앞 게시물 참조)을 기반으로 계산하며, 리그 평균과 파크팩터도 고려합니다! wRC+를 계산하기에 앞서 리그 평균대비 득점기여도 (wRAA)를 계산해야하는데, wRAA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wOBA scale의 경우 리그 평균 OBP와 같은 범위를 갖도록 조정하기 위한 상수인데, 매년 변하며 스탯티즈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1.2정도됩니다. 조금 더 직관적으로 ..

RC (Runs Created)

RC란 득점 창출력으로 1985년 빌 제임스에 의해 소개되었습니다. 타율이 아닌 실제 득점력을 측정해볼 수 있는 수치인데요! 이후에 RC와 유사한 개념이지만, 조정 득점 창출력 wRC/wRC+를 알게 된다면 각 타자의 능력에 대해 더 자세히 비교할 수 있을 것 입니다. (실은.. wRC+는 유사한 개념이지만, 계산하는 식에서는 RC와는 상관이 없어보일 것입니다. 단지 조정 출루율(wOBA)만을 통해 계산을 하거든요..!) RC의 기본 계산 컨셉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식에서 보이듯이, 출루와 진루를 기회로 나눈 것입니다. RC의 계산은 4가지 버전이 있는데, 세이버메트릭스에 쉽게 접근하기 위해 가장 기초적인 Basic버전을 살펴보겠습니다. (나머지 3가지 계산식도 쉽게 찾아볼수 있으며, 2002버전은 ..

가중출루율 wOBA (Weighted On-Base Average

가중 출루율은 타자의 출루율을 개선한 스탯입니다. 출루율은 모든 출루에 동일한 가치를 부여합니다. wOBA는 실제 득점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출루율입니다. ---------------------------------------------------------------------------------------------------------------------------------- wOBA 계산은 아래와 같이합니다. 위의 식의 분자에서 uBB (볼넷), HBP (몸에 맞는 볼), 1B (1루타), 2B (2루타), 3B (3루타), HR (홈런)을 뜻하며, 분모의 AB(타수, At Batting), BB(볼넷), IBB(고의사구), HBP (몸에 맞는 볼), SF (희생 플라이)를 뜻합니..

GPA (Gross Production Average)

GPA라는 지표는 야구를 좋아하시던 분들도 조금 생소하게 느낄 수 있는 세이버메트릭스 지표입니다. 타자의 공격 능력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인데, OPS가 출루율과 장타율을 1:1 비중으로 단순히 더함으로써 나온 지표이기 때문에 이 지표에 출루율이 저평가되었다는 주장에 의해 등장한 지표입니다. GPA는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GPA = (1.8 X OBP) + SLG / 4 출루율이 저평가 된 선수들을 확인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출루율에 가중치를 준 1.8이라는 수치는 앞으로도 개선이 될 필요가 있는 수치이지만, 경기당 평균 득점과 상관관계가 0.971로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PA 수치는 네이버스포츠에서 별도로 제공해주지 않고 있기때문에, 제가 직접 계산해보았습니다. 2021 시즌의 GP..

OPS (On base Plus Slugging)

야구를 좋아하는 팬분들에게 OPS는 눈에 익은 세이버메트릭스 지표일 수 있습니다. 요즘 가장 많이 보인다고 할 수 있는 타격 지표라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실제 NC 다이노스 홈구장의 전광판에서도 OPS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OPS는 단순히 출루율(OBP)와 장타율(SLG)를 더한 지표로 아래와 같습니다. OPS = OBP + SLG 단순히 더한 지표이지만, 실제 경기당 평균 득점과의 상관관계는 OBP나 SLG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OPS는 경기당 평균득점과 0.954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앞서 언급하였던 OBP (0.884), SLG (0.911)보다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8 이상의 OPS를 가진 타자는 꽤 좋은 타자로 평가되며, 0.9이상이면 매우 좋..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