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정후 5

현재 이정후 선수는 어떤 활약을 하고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키움 히어로즈에서 활약중인 이정후 선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시즌이 중반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데, 현재의 이정후 선수는 어떤 활약을 하고 있을까요?! 먼저 작년 시즌과 비교해보겠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역시 홈런 갯수입니다 작년에 총 7개에 불과했던 홈런 갯수는 현재 64경기 밖에 지나지 않았는데 홈런이 이미 10개입니다. 작년보다 확실히 더 홈런타자가 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홈런 갯수가 늘어나면 타율이 줄어든다고 하지만.. 타율은 작년보다 조금 줄었지만 약 3할 4푼으로 현재 모든 선수들 중 피렐라, 이대호 선수에 이어 3위를 달리고 있으며, OPS, wOBA 수치도 작년과 비슷합니다. wRC+는 작년보다 더 높아진 174.2를 기록하고 있으며, 리그 평균 타자들보다..

타자 WAR (Wins Above Replacement)

WAR! 야구 중계를 보신 분들은 아주 많이 들어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Wins Above Replacement, 대체 선수 대비 승리기여도를 뜻합니다. 그렇다면, 대체 선수는 누구를 말할까요?! 일반적으로 대체선수는 1군에서 활약하는 승리기여도가 0인 대략적인 1.9군의 선수를 말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타자의 WAR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RAA 계산 RAA(Runs Above Average) 공격(wRAA), 주자(BsR), 수비수(DeF)로서의 평균 대비 기여한 점수를 구합니다. 이를 통해 RAA를 계산합니다. RAA = wRAA + BsR + DeF wRAA는 리그 평균 대비 득점기여도(https://sabermetrics-kbo.tistory.com/23) BsR..

wRAA (Weighted Runs Above Average)

wRAA (Weighted Runs Above Average)는 타자의 리그 평균 대비 득점 기여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앞선 게시물에서 언급한 지표인 wOBA를 통해서 계산하게 되는데요! wRAA는 추후 WAR을 계산하는데 활용되는 지표이므로, 간략하게 wRAA의 계산 방법에 대해서 언급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 PA : 타수 wOBA : 가중출루율 wOBA scale : 가중출루율 sclae (스탯티즈에서 매년 확인 가능, 게시물 참조 : https://sabermetrics-kbo.tistory.com/20?category=1028894) 리그wOBA : 리그 평균 wOBA 위의 식과 같이 wRAA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wRAA의 평균은 0이며, 아래와 같이 말할 수 있습니다. - 0보다..

가중출루율 wOBA (Weighted On-Base Average

가중 출루율은 타자의 출루율을 개선한 스탯입니다. 출루율은 모든 출루에 동일한 가치를 부여합니다. wOBA는 실제 득점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 출루율입니다. ---------------------------------------------------------------------------------------------------------------------------------- wOBA 계산은 아래와 같이합니다. 위의 식의 분자에서 uBB (볼넷), HBP (몸에 맞는 볼), 1B (1루타), 2B (2루타), 3B (3루타), HR (홈런)을 뜻하며, 분모의 AB(타수, At Batting), BB(볼넷), IBB(고의사구), HBP (몸에 맞는 볼), SF (희생 플라이)를 뜻합니..

조정 평균자책점 ERA+ (Adjusted ERA)

평균자책점(ERA)을 알겠는데.. 조정 평균자책점은 뭐야? 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이 있으실 겁니다. 저 역시 그랬었구요! 조정 평균자책점(ERA+)란 Adjusted ERA로 투수의 9이닝당 평균자책점을 리그의 평균자책점과 파크팩터로 조정한 값이며, 이 투수가 리그에서 어느 정도 수준의 투수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ERA+를 구하는 계산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PF는 파크팩터를 나타내며, 선수마다 각 구장에서 가지는 PF를 사용하기에 선수마다 다르다. PF를 1이라고 가정하면, 결국 해당 투수의 리그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RA+가 100보다 높으면! 리그 평균보다 잘하는 투수 ERA+가 100보다 낮으면! 리그 평균보다 못하는 투수 예를들어 ERA+가 115인 선수는 리그 평균보다 약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