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버 메트릭스(SaberMetrics)란 무엇일까? 이 전 글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 야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이버 메트릭스라는 용어가 나오기 전에도 야구에서는 데이터를 활용하였습니다. 타율, 타점, 도루 등은 타자에게 활용되던 수치이며, 평균자책점, 승리 투수, 세이브 등은 투수에게 활용되던 수치이다. 이러한 스탯을 일반적으로 클래식 스탯으로 명칭하며 현대 야구에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클래식 스탯은 많은 부분에서 허점이 존재합니다. 평균자책점이 낮은 투수는 무조건 좋은 투수인가? 높은 타율을 가진 타자는 무조건 좋은 타자인가? 하는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세이버 메트릭스에서는 많은 지표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타율을 예로 들자면, 타율(Batting Average) 이란 총 안타 수(hits)를 타수(At Batting)로 나눠서 계산을 합니다.
- 타율 (AVG) = 총 안타수 / 타수
- 타수 = 총 타석에서 사사구, 희생번트, 희생플라이, 타격방해, 주루방해의 숫자는 제외합니다.
= 총 타석 - (사사구 + 희생번트 + 희생플라이 + 타격방해 + 주루방해)
그렇다면! 타율의 맹점에 대해서 한번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아래 노란 음영을 확인해주세요!
3할의 타율을 가진 타자는 2할 5푼의 타율을 가진 타자보다 좋은 선수인가?
항상 Yes는 아닙니다. 야구는 출루를 해야 득점을 할 수 있는 스포츠인데 2할 5푼의 타자가 출루를 더 많이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볼넷은 타율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볼넷을 많이 얻은 2할 5푼의 타자가 그렇지 못한 3할의 타자보다 출루가 많을 수 있기 때문에 출루의 관점에서는 2할 5푼의 타자가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이를 세이버 메트릭스에서는 출루율 (OBP : On Base Percentage)로 지표를 나타내고, 이를 통해 기존의 클래식 스탯 타율의 맹점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 출루율 (OBP) = (사사구 + 안타의 갯수) / (타수 + 사사구 + 희생플라이)
3할의 타율을 가진 모든 타자는 동일한 가치를 지니는 선수인가?
동일한 가치를 지니지 않습니다.
타율은 모든 안타를 동일한 가치로 판단하는 맹점을 가지고 있는데, 실제 안타의 가치는 1루타, 2루타, 3루타 심지어 홈런까지 동일하게 판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세이버 매트릭스에서는 장타율 (SLG : Slugging Percentage)를 제안하여 이를 보완하고 있습니다.
- 장타율 (SLG ) = (1루타 X 1 + 2루타 X 2 + 3루타 X 3 + 홈런 X 4) / 타수
세이버 메트릭스는 출루율, 장타율 이외에 흥미로운 지표들을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제 목표는 이러한 지표들을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이 쉽고 흥미로울 수 있도록 게시물을 올리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꾸벅)
2022 시즌이 시작되기 전까지 꾸준하게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럼 다음 게시물에서 봐요!

'세이버메트릭스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타고리안 승률 (0) | 2021.12.07 |
---|---|
파크 팩터 (Park Factor) (0) | 2021.11.29 |
세이버 메트릭스 (SaberMetrics)란 무엇인가? (0) | 2021.11.16 |